목록꿀팁을 기록하다 (41)
Records for you and me

소득공제 1. 인적공제 공제 요건 : 본인, 배우자 및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으로 연간 소득 금액 100만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 급여액 500만원) 이하인 경우 ◆ 기본공제 공제 한도 : 1명당 150만원 부양가족 직계존속 직계비속 형제자매 위탁아동 수급자 나이요건 60세 이상 20세 이하 60세 이상~ 20세 이하 6개월 이상 양육 없음 *장애인의 경우 나이요건 제한 없음 ◆ 추가공제 공제 한도 : 대상 별 차이 공제 대상 경로 우대 (70세 이상) 장애인 부녀자 (부양/기혼) 한 부모 공제금액 100만원 200만원 50만원 100만원 *한 부모 공제는 부녀자 공제와 중복 적용(중복 시 한 부모 공제 적용) 2. 주택공제 항목 구분 공제한도 공제요건 특별 소득공제 주택자금 주택임차차입금 연 30..

직장인들의 13월의 월급이라 불리는 연말정산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1월에 연말정산을 신청하게 되면, 2월에 정산되어, 3월에 환급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1월 15일에 열린다. 근로자들은 2월 28일까지 간소화자료를 회사에 제출하면 된다. 직장인뿐만 아니라 근로소득이 있다면 필수적으로 신청해야 한다. 미리 납부했던 세금이 많으면 다시 돌려주는 제도이니 본인이 납부한 세금이 많고 사용한 결제금액이 많다면 자세히 알아보시고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잘 챙겨서 많이 확급받으시길 바랍니다. 이번에 처음 직장에 들어가신 분들이나 한번도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를 이용해 보지 않은 분들은 연말정산에 대한 의미도 왜 해야하는지 이유도 모르실 수 있는데요. 이번에 이 포스팅을 통해서..

👉1.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혜택👈 출산 가정에 출산일 +60일까지 산후조리 가정방문서비스 이용권 지급합니다.(단, 태아 기준 최대 60만원까지 지원) 👉2. 장애인 활동지원혜택👈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활동지원, 방문목욕,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권 지급합니다. (월 최대 1,63천원까지 지원) 👉3.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혜택👈 아동, 장애인, 노인 등 다양한 수요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 지급합니다. (세부 지원내용은 사업별로 상이) 👉4. 가사간병방문 지원👈 장애인, 조손가정, 한부모가정 등 취약계층에 재가간병·가사지원 서비스 이용권 지급합니다. (월 최대 244,890원까지 지원) 👉5. 발달재활서비스👈 시각.청각.언어.지적.자폐성.뇌병변 장애아동에게 재활치료서비..

기준중위소득이란? 전체 국민 소득의 중간값을 계산한 것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 및 각종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되고 있죠. 2021년 소득기준으로 2022년 7월 말에 2023년 기준중위소득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가구원 수 1 2 3 4 5 6 기준 중위소득 22년도 194만4812 326만85 419만4701 512만1080 602만4515 690만7004 23년도 207만7892 345만6155 443만4816 540만964 633만688 722만7981 2023년 기준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2022년보다 5.47%인상 되었습니다. 1인 가구 기준도 2022년보다 6.84% 이상되었네요. 4인가구에 대한 중위소득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23년도 기준중위소득은 표와 같이 5,400,964원..

1. 차상위 계층의 뜻? 차상위계층이라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문자를 접하면 일단 이해가 안되다보니 조건과 혜택이 나에게 해당이 되는지 안되는지 알기도 전에 뜻에서 부터 정리가 안됩니다. 공감하시죠? 그래서 일단 차상위 계층의 뜻에 대해서 먼저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차상위계층이라는 말은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의 계층을 말한다고 보면 됩니다. 부양받을 수 없는 사람들을 기초생활수급자라고 한다면, 부양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을 차상위계층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차상위계층'은 자산은 없지만 의식주 생활이 곤란한 수준은 아닌 '차상위자'를 말합니다. 2. 차상위 계층의 조건 ① 중위소득 50% 이하 차상위계층의 조건은 기초생활수급자에 해당하지 않는 계층으로 소득인정액이 대통령령으로..

👉1.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산모 및 배우자의 건강보험표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중위소득 80%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차상위 계층의 뜻을 알고싶다면? 🔽클릭 🔽 '기준중위소득 80%이하'가 무슨말인지 알고싶다면? 🔽클릭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혜택 바로가기🔽클릭 👉2. 장애인 활동 지원👈 만 6세 이상부터 만 65세 미만 1급, 2급, 3급 장애인이 해당됩니다. 👉3. 지역사회 서비스투자사업👈 사업별로 다르고, 지역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각 시별로 받아오는 운영금액이 달라서 운영지침도 다른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지역사회 서비스투자사업 글자 클릭하면 상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지원 사업 목적 청소년 산모에게 건강한 태아의 분만과 산모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의료비 일부를 국민행복카드로 지원합니다. 산전관리가 취약한 청소년산모에게 임신.출산. 의료비를 지원함으로써 산모와 태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함 입니다. 지원대상 '임신확인서'상 임신확인일 기준 만 19세 까지 인정합니다. - 소득. 재산 기준 없습니다. 임산부이면서 만 19세 이하 산모로 청소년 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 지원범위 임산부 및 2세 미만 영유아의 모든 의료비 및 약제.치료 재료 구입비 (※산후조리비 비용은 지원 불가) 사용기간 내 미사용된 지원금은 분만예정일 2년 이후 자동 소멸 지원금액 임신 1회당 120만원 범위 내 (유산 사산 및 출산 이후에도 신청가능) 사용기간 내 미사용된 지원금은 분만예정일..

2023년 바우처 정책 어떤 것들이 있을까? 많은 분들이 들어는 봤지만, 정작 내가 해당하는지 모른채로 생활하는 사람이 전국민의 80%이상, 당신은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2023년 바우처제도가 새롭게 변경된 내용들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국가 바우처란? ▶ 2. 국가 바우처 사업의 종류 ▶ 3. 내게 맞는 바우처 찾는 방법 조회하기 ▶ 4. 국민행복카드란? ▶ 5. 국민행복카드는 누가 사용하고, 어떤 혜택이 있나요? ▶ 6. 국민행복카드 신청하는 방법 ▶ 7. 국민행복카드로 한눈에 정리하는 국가바우처 사업보기 ▶ 1. 국가바우처란? 국가가 복지 대상자에게 직접 현금이나 서비스, 물품을 제공하는 대신, 정해진 이용처에서 서비스(또는 물품)로 교환할 수 있는 이용권을..

카카오톡 선물하기보다 저렴한 어플 알아보기 카카오톡 선물하기 저렴한 구매를 원한다면 일상카페 어플을 받아라. (카톡으로 전송가능) 카카오는 다양한 모바일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기업이다. 카카오 사업중 카카오톡이 대박을 터뜨려 국민메신저로 자리매김 했다. 전 국민의 80%이상이 사용하고 있고,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거의 카카오톡이 깔려있다. 그래서인지 카카오톡 플랫폼 중의 하나인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모든 국민이 좋아하는 카테고리이다. 그 이유는 고마운 사람, 사랑하는 사람, 생일인 사람에게 무엇보다 간편하게 감사의 표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똑같은 브랜드의 상품을 카카오톡 선물하기 보다 저렴하면서 카톡 전송까지 가능한 어플이 있다. 카톡으로의 전송기능을 가지고 가면서 같은 상품을 저렴..

1. 전국 어디든 이 어플 하나면 OK : 티머니GO (광고아님 직접 써보고 좋아서 소개하는 것이다.) 전국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택시, 시내버스노선, 지하철 노선, 따릉이(서울만), 씽씽킥보드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한번에 이용할 수 있다. 이 편리한 티머니GO 안 쓸 수 없는 이유가 있다. ▼ 2. 왜 이 어플을 써야하나 하나로 통합된 플랫폼이다 - 따릉이/씽씽 대여부터, 고속/시외버스 예매, 택시 호출, 경로검색 등을 모두 티머니GO 앱 하나로 이용할 수 있어 모두의 이동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합니다. 매일 더 스마트하게 만들어준다 -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와 교통수단을 알려주는 티머니GO, 내 위치와 상황에 맞게 더 스마트한 이동생활을 경험할 수 있다. 쓰면 쓸수록 절약된다 - 매일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