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5)
Records for you and me

해가 갈수록 국민연금이 줄어든다는 얘기가 계속되고 있다. 국가 상황이 이대로 가면 약 2050년도 정도 됐을 때 고갈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저도 국민연금을 성실히 납부하고 있는 입장에서 이걸 계속 내야하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내야겠죠? 본론으로 들어가서, 국민연금 수령나이와 예상수령액, 혹시나 일찍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볼까요? 일반적인 수령 나이 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납입기간 10년이라는 기간을 채워야지 수령이 가능합니다. 10년 납입을 모두 채웠다는 가정하에서 아래와 같은 지급개시 연령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출생연도 노령연금 1953년-56년생 61세 1957년-60년생 62세 1961년-64년생 63세 1965년-68년생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출생년..

가수 겸 배우 이승기(1887년 만 36)가 본인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2023년 4월 7일 배우 이다인과 결혼한다고 자필편지를 올리며 팬들에게 소식을 전했다. 지난 2021년 5월부터 공개 열애 중인 연인 '이다인'과 결혼을 하는 것이다. 이다인은 배우 견미리의 딸이자, 같은 배우로써 활동중인 이유비의 동생이다. 1992년생으로 만31살이다.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출신으로 2014년 tvn드라마 스무살로 데뷔했다. 이승기과 이다인은 2021년 5월 열애를 인정한 후 공개 열애 2년만에 결혼이라는 결실을 맺게 되었다. 5살의 나이차가 나며 이승기과 이다인은 골프라는 공통 분모로 인연을 맺고 호감을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승기의 인스타 자필편지의 전문을 요약하자면, '이제 연인이 아닌 '부부'로서 남은 ..

출산 시 최초 1회 지급되는 바우처로 출산 축하 및 초기 육아 지원을 국민행복카드로 이용 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 사업목적 출생 아동에서 첫만남 이용권 200만원을 지급하여 생애초기 아동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경감 ◆ 지원대상 22.1.1일 이후 출생아로서 출생신고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 지원내용(혜택) 생애초기 아동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200만원)로 지급 (유흥.사행 업종 등 지급목적에서 벗어난 업종을 제외한 다양한 업종에서 사용가능) ◆ 지원기간 - (사용 가능 시작일) 이용권 지급일(포인트 생성일) ※ 기존에 발급받은 국민행복카드가 있는 경우 추가 발급 없이 시군구청에서 지급 결정을 한 익일에 추가 발급 없이 포인트 생성 -..

1. 멀티충전기 해외여행 시 각 나라마다 콘센트 꽂는 부분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멀티충전기를 준비해서 가면 어느 나라에 가도 충전할 때 문제없이 바로 충전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와 같은 220V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는 국가는 홍콩, 필리핀, 중국,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베트남, 인도, 벨기에, 우루과이, 그리스 등이다. 영국, 싱가폴, 말레이시아는 세 발짜리 플러스가 필요하고, 일본, 타이완,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은 110V를 사용하기 때문에 돼지 코 모양의 플러그가 필요하다. 캐리어 싸는 법 바로가기 2. 여행자수표 여행자수표란? 해외여행 시 현금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수표로 호텔이나 공항, 레스토랑, 쇼핑센터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여행자수표는 현금에 비해 매도율과 매입률이 저렴할..

코로나로 인해 고통받던 시대는 지나가고, 이제 마스크 해제의 날까지 온 이 상황에서 해외여행객의 증가폭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많이 찾아보는 것 중에 해외여행가는 나라의 대한 정보나 짐싸는 법, 여행시 필요한 어플, 여행을 가기 위해 내가 갈 수 있는 공휴일 날짜를 체크해 보기도 하죠. 여행시 준비물 체크리스트 다운로드하기 여행시 꼭 다운받아야 하는 어플 확인하기 2023년 공휴일 날짜 언제인지 확인하기 미리 준비하고 떠나는 여행은 실수가 적고, 시간을 낭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꼭 끝까지 읽어보시고, 여행에 필요한 체크리스트 확인까지 하고 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캐리어 잘싸는 노하우 1. 짐은 출국 일주일전에 미리 하나씩 챙기자! 출국 날짜에 임박에서 싸는 짐은 꼭 안챙..

2023년 달라지는 공휴일과 대체공휴일 대체공휴일이란? 공휴일에 관한 법률(공휴일법)의 제3조에 따라 공휴일이 토요일이나 일요일,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에 대체공휴일로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1월 신정(1월1일), 설(1월21일~23일) 설 대체공휴일(1월24일) 2월 : 없음 공휴일에 관한 법률(공휴일법) 제2조(공휴일) 공휴일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경일 중 3.1절, 광복절, 개천절 및 한글날 2. 1월1일 3. 설날 전날, 설날, 설날 다음 날 (음력 12월 말일, 1월 1일, 2일) 4. 부처님 오신 날(음력 4월8일) 5. 어린이날(5월 5일) 6. 현충일 (6월 6일) 7. 추석 전날, 추석, 추석 다음날(음력 8월14일, 15일, 16일) 8...

30일 0시부터 대부분의 실내 공간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다. 이전까지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최대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됐지만 이날부터는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만, 코로나 19 고위험군이 많이 이용하는 감염취약시설과 의료기관, 대중교통수단 등 일부시설에서는 착용 의무가 그대로 유지된다.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써야 하는 시설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정신건강증진시설.장애인복지시설처럼 입소자가 상주하는 감염취약시설에서는 착용의무가 이전처럼 유지된다. 병.의원, 보건소.보건진료소 등 의료기관과 약국에서는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써야 한다. 다만 환자가 드나들지 않는 곳(별도의 건물이나 층)은 마스크를 벗어도 된다. 환자다니는 ..